[ 0. K8s를 시작하며 ]
[위 이미지는 On-premise 환경에서 K8s 서버를 어떻게 구현해야하는지에 대한 요약이다]
⇒ 현직자분께 시스템 이해를 위해 설명을 요쳥했고, 설명해주신 내용을 일단 이해한대로 요약을 해보면 아래와 같다.
[ 1. 정기관 서버 구조 및 VM 기본 설정 : PROXMOX -VM ]
- 정기관 서버는 172.30/16의 IPTIME 네트워크에 연결되어 DHCP 형식으로 IP를 부여받는다.
- 정기관 서버(HOST)는 192.30.0.2/32 대역을 사용하며, PROXMOX가 설치되어 있음
- 정기관 서버 자원의 일부분을 사용해서, VM을 만들고
- ubuntu → K8s로 가는 기본적인 설정을 cloud-init을 통해 자동화함,
⇒ 즉 cloud-init을 통해, 기본 설정을 만들어 놓음으로써, 템플릿을 사용하여 복제가 가능하도록!
기본적인 설정 예시 : k8s-ssh접속 / qemu-agent [proxmox에서 VM 및 네트워크 확인 가능]
- ubuntu → K8s로 가는 기본적인 설정을 cloud-init을 통해 자동화함,
👉
- proxmox : VM 관리 플랫폼 = 호스트 시스템 (⇒ 템플릿 만들기가 가능)
- cloud-init : VM이 설치된 이후, 실행되는 스크립트 설정 (⇒ 템플릿 마다 자동 설정 부여)
- qemu-agent : 호스트 시스템과 VM을 연결해주는 데몬
- cloud-init : VM이 설치된 이후, 실행되는 스크립트 설정 (⇒ 템플릿 마다 자동 설정 부여)
- qemu-agent : 호스트 시스템과 VM을 연결해주는 데몬
[ 2. VM을 cloud 환경으로 : Provision ]
⇒ 외부(Terraform?)에서 RKE2를 활용한 프로비져닝이 자동화
- Proxmox REST API를 사용해서, VM템플릿을 활용 1개의 마스터, 3개의 워커 노드 생성 = ubuntu설치 + cloud-init 설치 및 메타데이터 실행
- cloud-init에서
rke2_role = "server”
와 같이 서로 다른 롤을 부여해서, RKE2-server / RKE2-agent 생성
- 각 노드를 rancher를 사용해서 연결하는 것(master-worker) 까지 자동으로
👉
- PROXMOX REST API : 탬플릿을 이용하여 VM 생성을 API로
- cloud-init : ROLE(master/worker)에 따른 설정 부여 + 각 RKE 연결 까지
- cloud-init : ROLE(master/worker)에 따른 설정 부여 + 각 RKE 연결 까지
[ 3. HTTP traffic을 어떻게 처리하나? : Networking ]
- 외부 사용자가 브라우저 접속 : https://main.test.com
- 라우터가 요청을 Nginx Proxy Manager에게 전달
⇒ DNS를 통해 https://test.com 주소가 192.168.0.100(Nginx Proxy Manager IP)로
- Nginx Proxy 규칙에 따라, main. 은 proxy_pass http://192.168.0.240:80으로 전달 (내부망 IP)
- Nginx Proxy Manager는 https://main.test.com/hello로 요청을 받아서 그대로 http://192.168.0.240:80/hello로 대신 전달(proxy)
- 여기서 192.168.0.240:80이 IP가 metalLB를 통해서 로드밸런서 서비스에 부여한 가상 L2 IP
- MetalLB에서 192.168.0.240가 할당된 특정 노드 A를 찾아 연결 172.30.0.1
- kube-proxy가 K8s 서비스 ClusterIP(172.30.0.1)를 → 선택된 pod(172.30.3.5:8080)로 라우팅
역할 정리
👉
- Nginx Proxy Manager : 받은 HTTPS 요청을 URL 라우팅 및 SSL 설정 등을 한 후, 전달
⇒ 전달 IP : MetalLB로 만든 가상 L2 IP
- MetalLB : 내부망의 특정 노드와 연결되는 외부 IP를 제공
⇒ 전달 IP : 노드 A의 클러스터 IP
- K8s : kube-proxy를 통한 클러스터 IP 요청을 실제 Pod로 연결
⇒ 전달 IP : Pod
⇒ 전달 IP : MetalLB로 만든 가상 L2 IP
- MetalLB : 내부망의 특정 노드와 연결되는 외부 IP를 제공
⇒ 전달 IP : 노드 A의 클러스터 IP
- K8s : kube-proxy를 통한 클러스터 IP 요청을 실제 Pod로 연결
⇒ 전달 IP : Pod
공부했지만 못적은 것들 (후에 RKE-etcd 묶고, metalLB ingress 부분 묶고, 설치해서 실행 되는거 까지 해보기)
클러스터안에 설치되는 프로그램들
RKE
https://velog.io/@gojol_devops/Kubernetes-RKE1-vs-RKE2
etcd
https://tech.kakao.com/posts/484
metal LB vs Ingress
https://lordofkangs.tistory.com/566