ASHD Dev_Blog
이재룡
7. 유일 ID 설계 [SYS-study]
단일 서버 구조에서 사용자 수가 증가함에 따라 추가해야 할 설계
3.1 운영체제와 컴퓨터 [OS-study]
운영체제 개념 및 컴퓨터 처리 모듈 CPU, DMA 등의 구조
1-a. 메시지 지향 미들웨어 (MOM) [SYS-study]
메시지 지향 미들웨어 중 한 가지인 메시지큐의 이론과 MSA에서의 역할
3.4 CPU 스케줄링 [OS-study]
메모리의 종류 및 동작 과정
5&6. 분산 키 값 저장소 [SYS-study]
단일 서버 구조에서 사용자 수가 증가함에 따라 추가해야 할 설계
1. 사용자 수에 따른 규모 확장성 [SYS-study]
단일 서버 구조에서 사용자 수가 증가함에 따라 추가해야 할 설계
3.2 메모리 [OS-study]
메모리의 종류 및 동작 과정
3.3 프로스세와 스레드 [OS-study]
메모리의 종류 및 동작 과정
컨테이너 내부에 접속 (kubectl 없이)
RKE환경에서의 컨테이너 직접 접속
K8s를 시작하기 전에
K8s를 시작하기전 온프레미스 서버의 현재 상태에 대한 간략 정리
Dive-2025 Kakao Mobility API
카카오 모빌리티 api의 요청 및 응답에 대한 분석
1주차 문제 [DFS/BFS]
1주차 DFS/BFS 관련 심화 문제
1주차 문제 [DFS/BFS] (1)
1주차 DFS/BFS 관련 심화 문제
![코테 공부 [DFS/BFS]](https://blogpro.so/_next/image?url=https%3A%2F%2Fblogpro.so%2Fapi%2Fblogpro%2Fog%3Ftitle%3D%25EC%25BD%2594%25ED%2585%258C%2B%25EA%25B3%25B5%25EB%25B6%2580%2B%255BDFS%252FBFS%255D%26description%3DDFS%252FBFS%2B%25EC%259D%25B4%25EB%25A1%25A0%2B%25EA%25B3%25B5%25EB%25B6%2580%2B%25EB%25B0%258F%2B%25EA%25B8%25B0%25EB%25B3%25B8%2B%25EA%25B5%25AC%25EC%25A1%25B0%2B%25EA%25B5%25AC%25ED%2598%2584%26logo_path%3Dhttps%253A%252F%252Flmtjmyucqrtedzdzmevs.supabase.co%252Fstorage%252Fv1%252Fobject%252Fpublic%252Flogos%252Flogo.png&w=3840&q=75)
코테 공부 [DFS/BFS]
DFS/BFS 이론 공부 및 기본 구조 구현
Cloud init - template
K8s를 시작하기전 온프레미스 서버의 현재 상태에 대한 간략 정리
Alpha 서버 [삽질 1 : SSH]
SSH(putty) 연결하기까지 고생한 삽질내용
HTTP_3 : HTTP 요청 처리 방식 in GO / HandleFunc
golang의 기본 구조! 패키지 하위의, structure와 메소드
HTTP_2 : Config file in GO / cmd
golang의 기본 구조! 패키지 하위의, structure와 메소드
GO 기초 구조
golang의 기본 구조! 패키지 하위의, structure와 메소드
RTC_1 : How to Connect Channel
golang의 기본 구조! 패키지 하위의, structure와 메소드
RTC_2 : Read & Write
golang의 기본 구조! 패키지 하위의, structure와 메소드
HTTP_1 : API in GO / gin
golang의 기본 구조! 패키지 하위의, structure와 메소드

AUSG
UI 상태HTTPS 연결⇒ cert manager → clusterissuer → certicate함께 배포pod 컨디션 (status, reason, message)사용자 데이터의 persistency 보장⇒ PVC -pv 프로바이징컨테이너로그사이드카로 모니터링헬름차트fabric8 vs k8s offical clientsoft-delete가 patch/delete?VariableConstantStringPointerArray< 응용 :
GO 기본 문법
golang의 기본 문법! 변수와 상수, 데이터 타입, 조건문/반복문